728x90

전체 글 48

싸피 7월 (4일~8일)

우선 4일은 방학. 5일(화) 오전엔 이번 일주일 간 진행될 공통부트캠프 OT와 슬기로운 싸피생활이라는 주제의 유튜브 라이브방송이 있었고, 오후에는 명세서를 팀원들끼리 확인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그리고 Project Followership과 Management에 대한 강의가 있었는데 당연한 내용을 길게 말하는 느낌이라 라디오 듣듯 켜두고 공부를 했다. 6일(수) 아이디어 해커톤을 팀별로 진행했다. 여기서 팀은 프로젝트 팀이고, 대부분 선택 주제에 대해 아이디어를 생각했다. 1학기에 했던 아이디어톤이 생각나는 하루였다. 템플릿도 똑같고... 심지어 발표도 사다리타기에서 걸려서 그냥 데자뷰 그 자체였다... 7일(목) 반별 컨설턴트님과 실습코치님 소개를 받고, Jira 설명을 들었는데 그냥 해보면서 삽질해봐..

SSAFY 2022.07.10

3번째 주제 (정규화, 인덱스, 트랜잭션)

1. 인덱스를 설명하고 장단점을 말해주세요 -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에 대한 검색 성능의 속도를 높여 주는 자료구조, 데이터와 데이터의 위치를 포함한 자료구조를 생성하여 빠르게 조회할 수 있도록 합니다. 장점으로는 테이블을 조회하는 속도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시스템 부하를 줄일 수 있지만, 단점으로는 인덱스를 관리하기 위한 추가작업이 필요하고 인덱스를 잘못 사용하는 경우 오히려 검색 성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또한, 인덱스를 관리하기 위해 추가적인 저장공간이 필요합니다. 2. 정규화를 설명하고 장단점을 설명하세요 - 데이터의 중복을 최소화하게 데이터를 구조화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장점으로는, 각종 이상 현상들을 해결할 수 있고 무결성을 유지하며, 데이터의 일관성을 높여줍니다. 단점으로는 데이터를 조..

2번째 주제 스레드와 프로세스

설명 프로세스와 스레드 차이 프로세스: 운영체제로부터 시스템 자원을 할당받는 작업의 단위 동적인 개념으로는 실행된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스레드: 프로세스 내에서 실행되는 여러 흐름의 단위 프로세스가 할당받은 자원을 이용하는 실행의 단위 스레드는 프로세스 내에서 각각 stack만 따로 할당받고, Code,Data,Heap 영역은 공유한다.이런 차이점으로 인해 한 프로세스를 실행하다가 강제로 종료되어도 공유하고 있는 파일을 손상시키는 경우가 아니라면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지만, 스레드는 Code/Data/Heap 메모리 영역의 내용을 공유하기 때문에 어떤 스레드 하나에서 오류가 발생하면 같은 프로세스 내의 다른 스레드 모두가 강제로 종료된다. Context Switching CPU에서 여러 프로세스를 돌아가..

SSAFY 6월 회고

1. 계절학기 우선 6월은 일주일간 방학이 있었고, 알고리즘 특강? 사슴사냥대회, 알고리즘 문제 만들기 등 계절학기가 진행이 되었다. 사슴사냥대회는 뭔가 거창하게 어려운거 할 줄 알았는데 그냥 일타싸피 + 운이 들어간 게임이었다. 2학기를 들어가기 전 안써본 기술이나 분야에 대해 학습해보라는 의미로 필수과제와 개인 선택과제를 준 것 같다. 생각보다 귀찮은게 많았는데 학부시절 GNN 가지고 놀아본 적이 있어서 그거랑 관련된 과제만 2개한 기억이 난다. 2. 잡페어와 특강 우선, 특강은 정말 많은 게 있었는데 CS 관련 특강은 나름 크게 공부가 되었다. 기본적인 걸 개념을 살짝 설명해주셨는데 간단하게나마 정리하는 기분이었다.그 외에도 인성면접이나 직무면접과 관련된 특강이 있었고 인성면접 강사님이 강민혁님이라..

SSAFY 2022.07.01

스케줄링 공부

스케줄링 문제 1. 스케줄링에 대해 설명하고 하는 이유에 대해 말해보자. - 여러 프로세서가 번갈아 사용하는 자원을 어떤 시점에 어떤 프로세스에 할당할지 결정하는 것을 말하며, 다중 프로그래밍에서 프로세서(CPU)를 할당할 프로세스를 선택할 때 전략이 필요하기 때문 2. 선점 스케줄링과 비선점 스케줄링의 차이점을 말해주세요 선점형 스케줄링은 어떤 프로세스가 CPU를 할당받아 실행되고 있는 중에도 다른 프로세스에 의해 언제든 CPU 점유를 빼앗길 수 있습니다. 이는 문맥교환 오버헤드가 크며, 대화형 시스템 또는 리얼타임 시스템에 적합합니다 반면, 비선점형 스케줄링은 선점형 스케줄링과 반대로 다른 프로세스가 절대 CPU를 빼앗을 수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프로세스의 실행이 완료되고 CPU를 반납해야지 다..

싸피 5월 회고와 한학기 전체 회고

1. 수업 회고록이 생각보다 많이 늦어졌다. 한학기가 마무리되고, 간단한 계절학기와 방학을 즐기는 탓에.... 지난 달엔 관통 프로젝트가 없어 좋았지만... 5월 한달 간은 3번이나... 알고리즘 관통.. vue 관통 그리고 최종 프로젝트까지 알고리즘 관통은 단순하게 자기가 알고 있는 알고리즘을 프로젝트에 적용하면 되는 것이었지만 기존 것도 체화가 잘 안되 있어서 간단한 알고리즘으로 했다. 그리고 vue를 1주? 정도 수업을 하고 바로 프로젝트를 진행했는데 기존에는 여러 jsp를 만들었다면 이젠 하나의 html을 만들고 블록을 끼워 넣듯이 컴포넌트들을 만들어 구성하는 방식이었다. 개인적으로는 프레임워크기 때문에 기존에 프론트를 할 때 보다는 간단하고 왜 사용하는지 알겠지만 난 프론트 길은 아닌것 같다....

SSAFY 2022.06.07

싸피 4월회고

1. 수업 4월은 우선 관통프로젝트가 없다는게 심적으로 너무 편했다. 대신 알고리즘 심화라며 다시 알고리즘 주가 시작 되었다. DP와 수학적 조합론? 이런 것들을 했는데 수학적인 개념(점화식 세우기) 등 이런 것들은 알고리즘과 별개로 너무 어려웠다. 약 2주간 알고리즘 수업을 하고 남은 2주는 개인적으로 싸피를 합격하면 꼭 배워보고 싶던 스프링에 관해 수업을 시작했다. 너무 많은 annotation에 휩쓸렸고... 계속 여러 폴더를 왔다갔다해서 정신이 없어서 처음엔 헤맸는데 지금은 이해는 되었으나 막상 첨부터 짜보라고 하면 시행착오가 너무 발생하는 것 같다. 수업적인 내용에선 딱히 쓸 내용이 없는 것 같다. 2. 이벤트? 싸피 밋업이라고 이전 기수 분들이 작성한 글을 본적 있었는데 그게 뭔지 알 수 있었..

SSAFY 2022.05.05

서블릿 이해하기

서블릿 이란? 서블릿은 서버 쪽에서 실행 되면서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동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바 클래스 입니다. 자바로 작성되어 있기때문에 자바의 일반적인 특징을 모두 가집니다. 하지만 서블릿은 일반 자바 프로그램과 다르게 독자적으로 실행되지 못하고 톰캣과 같은 JSP/Servlet 컨테이너에서 실행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클라이언트가 웹 서버에 요청하면 웹 서버는 그 요청을 톰캣과 같은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WAS)에 위임 합니다. 그러면 WAS는 각 요청에 해당하는 서블릿을 실행합니다. 서블릿은 요청에 대한 기능을 수행한 후 결과를 반환하여 클라이언트에 전송합니다. 서블릿은 어떤 기능이 있는가? 그림 1을 보면 단순히 고정된 정보를 브라우저에 보여주는 용도는 웹 서버로도 충분합니다. ..

3차시. Process

프로세스의 개념 Process is a program in execution 프로세스의 문맥 - CPU 수행 상태를 나타내는 하드웨어 문맥 - Program Conuter - 각종 register - 프로세스의 주소 공간 - code, data, stack - 프로세스 관련 커널 자료구조 - PCB (Process Control Block) - Kernel Stack 프로세스의 상태 - 프로세스는 상태가 변경되며 수행된다. - Running : CPU를 잡고 instruction을 수행중인 상태 - Ready : CPU를 기다리는 상태(메모리 등 다른 조건을 모두 만족하고) - Blocked(wait,sleep) : CPU를 주어도 당장 instruction을 수행할 수 없는 상태 - Process 자신..

운영체제(KOCW) 2022.04.03

2차시 System Structure & Program Execution

​컴퓨터 시스템 구조 CPU와 Memory : Computer 우측 부분들 : I/O device mode bit - CPU에서 실행되는 것이 운영체제인지, 사용자 프로그램인지 구분 1: 사용자 모드/ 0: 모니터모드(=커널모드, 시스템모드) - 사용자 프로그램의 잘못된 수행으로 다른 프로그램 및 운영체제에 피해가 가지 않도록 하기 위한 보호장치 - 보안을 해칠 수 있는 중요한 명령어는 모니터 모드에서만 수행 가능한 "특권 명령"으로 규정 - Interrupt나 Exception 발생시 하드웨어가 mode bit을 0으로 바꿈 - 사용자 프로그램에게 CPU를 넘기기 전에 mode bit을 1로 셋팅 타이머 - 정해진 시간이 흐른 뒤 운영체제에게 제어권이 넘어가도록 인터럽트 발생시킴 - 타이머는 매 클럭 ..

운영체제(KOCW) 2022.04.03
반응형